Linux 17

[Linux] This account is currently not available.

[ 개요 ]* su 스위칭 시, 'This account is currently not available.' 이슈 발생* 스위칭 계정이 /etc/passwd 에서 'nologin' 상태여서 스위칭 불가* 영구적으로 로그인 계정으로 설정 [ 적용 작업 ]1. su 스위칭 시, 이슈 내용su - hacluster---Password: This account is currently not available. 2. /etc/passwd 에서 해당 계정 상태 확인cat /etc/passwd | grep hacluster---hacluster:x:115:119::/var/lib/pacemaker:/usr/sbin/nologin* nologin 상태인 것을 확인 3. 영구적으로 로그인 상태로 변환chsh -s /bi..

Linux 2024.07.03

[Linux] Group 생성

■ 그룹 생성 # groupadd [option] groupName ☞ groupadd option 옵션 설명 -g 그룹 생성 시 그룹의 GID를 지정 -o 그룹 생성 시 지정한 GID가 이미 사용 중 일 때 중복 허용 -r 시스템 그룹으로 생성 (201~999의 GID 중 사용하지 않고 있는 GID를 부여) ■ 그룹 정보 수정 # groupmod [option] groupName ☞ groupmod option 옵션 설명 -g 지정된 그룹의 GID를 변경 -n 지정된 그룹의 그룹명을 변경 -o 지정된 그룹의 GID를 변경할 때 GID의 중복을 허용 -p 지정된 그룹의 패스워드를 변경 ■ 그룹 삭제 # groupdel groupName

Linux 2021.09.21

[Linux] 사용자 생성

■ 사용자 생성 1. useradd # useradd [option] userName · 사용자가 생성되면 /etc/passwd 파일과 /etc/shadow 파일 가장 마지막에 정보가 추가 2. passwd # passwd userName · 새로 생성한 사용자는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, 생성된 사용자로 로그인 하기 위해서는 패스워드를 지정 3. 사용자 기본 설정 확인 # useradd -D · 출력되는 값은 /etc/default/useradd 파일에 명시 ■ 사용자 정보 수정 # usermod [option] userName ☞ usermod option 옵션 설명 -u UID 사용자의 UID를 변경 -g GID 사용자의 기본 그룹을 변경 -G GID 사용자의 보조 그룹 변경 (기존 보조 ..

Linux 2021.09.21

[Linux] ssh-keygen

■ SSH Key란? Server에 접속 할 때 비밀번호 대신 key를 제출 사용 경우 1) 비밀번호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필요시 2) 로그인 없이 자동으로 Server에 접속시 ■ ssh-keygen [Controller] 1. ssh-keygen으로 key 생성 (rsa) $ ssh-keygen -t rsa · ssh-keygen으로 생성할 수 있는 키는 'RSA', 'DSA' 두가지가 존재 2. .ssh 디렉토리 내에 파일 확인 $ cd ~/.ssh · .ssh 디렉토리 파일 내에 'id_rsa', 'id_rsa.pub' 파일 생성 3. ssh copy $ ssh-copy-id study@10.0.2.21 $ ssh-copy-id study@10.0.2.22 $ ssh-copy-id study@10..

Linux 2021.09.06

[Linux] NFS

■ NFS ( Network File System ) · Linux / Unix 컴퓨터 간에 저장공간을 공유하게 해주는 서비스 · Server 저장공간의 Resource를 마치 자신의 Resource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■ NFS 구축 / 사용 □ Server 1) nfs-utils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# rpm -qa nfs-utils 2) exports 파일에 공유 설정 # vim /etc/exports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share192.168.56.*(rw,sync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· rw : 읽고 쓸 수 있는 권한 부여 · sync : nfs로 쓰기할 경우 디스크 동기화를 하겠다는 옵션 / 충돌 방지 ex..

Linux 2021.08.25

[Linux] 네트워크 설정

■ nmtui ( NetworkManger Text User Interface ) · 텍스트 샂아 형식의 설정 도구 · 터미널에서 사용자가 쉽게 네트워크 설정을 하도록 도와주는 도구 · 기본적으로 제공 단, 설치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 NetworkManger-tui 패키지 설치 # yum -y install NetworkManager-tui 1) nmtui 입력 # nmtui 2) Edit a connection 진입 3) enp0s8 설정 · host-only · 설정 값 변경 후 OK 4) enp0s3 설정 · NAT · 설정 값 변경 후 OK 5) 설정 값 변경 후 'Activate a connection' 접속 · * 존재하면 ACTIVE 상태 · 값 변경 후 Deactivate -> Activ..

Linux 2021.08.24

[Linux] FTP

■ FTP 란? ·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 파일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 · TCP 기반 통신을 통해 이기종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 · 대용량 파일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지만 암호화하여 전송하지 않음 ( 보안상의 이유로 권장 x ) · 암호화 통신을 하는 FTP 서비스로는 vsftp 서비스가 존재 · 20 / 21 Port 존재 20번 포트 ( Data Port) · 액티브 모드 ( Active Mode) : 20번 Port를 사용 / Server -> Client로 연결 시도 ( 방화벽 문제 ) · 패시브 모드 ( Passive Mode) : 1024번 Port를 사용 / Client -> Server로 연결 시도 · 양방향 통신 / 전이중 방식 ( Full Duplex ) ..

Linux 2021.08.24

[Linux] SELinux

■ SELinux 란? · Linux 보안 Kernal · Linux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탄생 ■ SELinux 모드 종류 강제(Enforcing) 시스템 보안에 영향을 끼치는 기능이 확인되면 그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차단 허용(Permissive) 시스템 보안에 영향을 끼치는 기능이 확인되면 허용은 하되 강제하지는 않음 비활성(Disabled) SELinux 비활성 -> 메모리에 SELinux 모듈이 올라가지 않음 ■ SELinux 모드 설정 1) 현재 시스템의 SELinux를 확인 / Linux 초기 설장 값은 Enforcing 모드 # getenforce 2) 시스템이 운영 중일 경우 SELinux 모드를 변경하는 명령 · 0 = Pemissive ( Kernal 모듈을 메모리에 올린 상태에서..

Linux 2021.08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