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17

[Linux] DNS Server 구축

· DNS1 : Primary (주 서버) · DNS2 : Second (보조 서버) ■ DNS Server 구축 (Cash 전용) · 자기 자신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 · 질의 / 응답 해주는 역할 · IP를 알아오면 Cash 값으로 저장 ■ DNS Primary Server 구축 1) Service 설치 진행 # yum -y install bind bind-chroot 2) /etc/named.conf 설정 (1) 접속허용 IP 127.0.0.1 -> any (2) IPv6 사용하지 않음, 따라서 none 대입 (3) allow-query 값을 any 3) named.conf 설정 후 재시작 (필수) # systemctl restart named 4) 방화벽 설정 # firewall-cmd --p..

Linux 2021.08.23

[Linux] DNS Server

■ DNS (Domain Name System) 란? ·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Host와 통신하려면 각 Host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함 · IP 주소는 약 43억 개에 가까운 경우의 수를 가짐 · 각 Host의 IP 주소를 기억하기는 매우 어려움 · 따라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 ■ 호스트 / 도메인 · 호스트 이름 : Network 상의 컴퓨터 각각의 이름 · 도메인 이름 : Network 범위를 지정하는 이름 ('구역' 같은 느낌) ex) · www -> 호스트 이름 · example.com -> 도메인 이름 □ FQDN (Full Qulified Domain Name) · 호스트 + 도메인 이름을 모두 표기한 풀주소 이름 / 전체 도메..

Linux 2021.08.23

[Linux] 작업 스케줄링

■ 단일성 작업 - 한번 실행되고 종료되는 작업 - 많이 사용되지 않음 # at now +5min at> date at> job 3 at Tue Aug 17 12:40:00 2021 1) at> 프롬프트에 등록할 작업 입력 2) at> 'Ctrl + D' 를 눌러 종료 3) 작업번호 3번으로 등록 / 실행되는 날짜 출력 # atq 1) at 명령어로 등록한 작업은 # atq로 확인 가능 # ls -l /var/spool/at/ 1) 등록한 작업이 다음과 같이 파일로 저장된 것을 확인 # cat /var/spool/at/a00005019e51eb 1) 등록된 작업을 확인해 보면 하단에 실행할 작업 확인 가능 ■ 주기적인 작업 # ls -l /var/spool/cron/ # crontab -l 1) 예약되어..

Linux 2021.08.17

[Linux] 사용자 관리

■ 사용자 / 그룹 파일 □ 다음과 같은 경로에 사용자와 그룹의 정보를 저장 /etc/passwd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/etc/shadow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에 대한 설정 /etc/group 시스템에 등록된 그룹 정보 /etc/gshadow 시스템에 등록된 그룹의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에 대한 설정 □ /etc/passwd - 사용자 정보를 수정할 경우 편집기를 사용해서 직접 수정하는 것보다,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정할 것을 권장 - 기본 구조 USER:x:UID:GID:GECOS:HOME:SHELL 1) USER : 사용자 이름 (사용자 이름은 시스템에서 유일해야 함!) 2) x :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필드 (패스워드의 정보는 /etc/shadow 파일에 해시 형태..

Linux 2021.08.15

[Linux] touch, mv, cp, rm 명령어

■ touch 명령어 $ touch [Option] [File] - 빈 파일을 생성한다. ex) $ touch fileName{1..9}.txt - {1..9}를 통해 빈 파일 9개 생성 ■ mv 명령어 $ mv [Option] [이동시킬 파일] [이동시킬 경로] - 파일을 이동시킨다. ex) $ mv fileName[123].txt Public/ - fileName1.txt, fileName2.txt, fileName3.txt 파일을 한번에 Public 디렉토리에 이동 $ mv fileName{1..9}.txt Public/ - fileName1 ~ 9.txt 파일이 한번에 Public 디렉토리에 이동 ■ cp 명령어 $ cp [Option] [복사할 파일] [복사할 파일 경로] - 파일을 복사한다. ..

Linux 2021.08.11

[Linux] grep 명령어

■ grep $ grep ['검색할 문자'] [File] - 특정 문자열을 검색해서 존재하는 라인을 출력하는 용도이다. - 특정 파일에 대한 정보를 뽑아서 사용 가능하다. - 일반적으로 따옴표는 큰 의미가 없다. 단, 띄어쓰기 등의 특수한 기능의 기호가 함께 사용될 때 필요하다. " " ₩, $, \ 기호 사용시 기능 활성화 ' ' 위 3가지 기호 기능 제거 ■ 정규표현식 (grep) - grep 명령어는 파일 등의 내용에서 특정 패턴 검색 시 사용하며 정규표현식을 이용해서 검색 가능하다. ^ 패턴의 앞에 입력하면 해당 패턴이 라인의 시작 $ 패턴의 뒤에 입력하면 해당 패턴이 라인의 끝 . 임의의 문자 1개 * 앞에 오는 문자의 개수가 0 ~ 무한 \ 뒤에 오는 문자의 기능을 제거 ■ grep 활용한 실..

Linux 2021.08.11

[Linux] ls, man 명령어

■ ls 사용법 $ ls [Option] [File] - ls 사용 기본 구조 $ ls - 파일들의 목록을 보겠다. $ ls -l - 파일 / 디렉토리를 자세하게 보겠다. $ ls -a - 숨겨진 파일 / 디렉토리까지 보겠다. ■ Manual Page $ man [Options] [Section] command ★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Manual Page 사용 (Page를 나가는 입력 -> q) $ man -k [Keyword] - 해당 Keyword로 발견되는 모든 매뉴얼의 내용을 검색하여 보여준다. $ man -f ls [Keyword] - 해당 Keyword로 발견되는 매뉴얼의 설명 부분을 제외하여 보여준다.

Linux 2021.08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