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[Linux] NFS

twoDeveloper 2021. 8. 25. 18:10

■ NFS ( Network File System )

· Linux / Unix 컴퓨터 간에 저장공간을 공유하게 해주는 서비스

· Server 저장공간의 Resource를 마치 자신의 Resource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

 

■ NFS 구축 / 사용

□ Server

1) nfs-utils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

# rpm -qa nfs-utils

 

2) exports 파일에 공유 설정

# vim /etc/exports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/share	192.168.56.*(rw,sync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· rw  : 읽고 쓸 수 있는 권한 부여

· sync : nfs로 쓰기할 경우 디스크 동기화를 하겠다는 옵션 / 충돌 방지

             ex) A하고 작업할 경우 A만 통신 가능

 

3) 공유 디렉토리 생성

# mkdir /share

· share 공유 디렉토리 생성

 

4) share 디렉토리 권한 설정

# chmod 777 /share

 

5) share 디렉토리에 간단한 파일 생성

# echo 1 > 1.txt
# echo 2 > 2.txt
# echo "hello world" > hello

 

6) NFS-SERVER 실행

# systemctl restart nfs-server

# systemctl enable nfs-server

· # exportfs -v => 파일을 볼 수 있음

 

7) NFS-SERVER 방화벽 설정
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mountd
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rpc-bind
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nfs

# firewall-cmd --reload

# netstat -tnlp => 방화벽 설정 확인

 

□ Client

1) nfs-utils 설치 유무 확인

# rpm -qa nfs-utils

 

2) showmount

# showmount -e [서버IP]

 

3) mount

# mount -t nfs [서버IP]:/share /nfs_share

· server의 share 디렉토리에 client nfs_share 디렉토리를 mount

 

4) 실제 client의 nfs_share 디렉토리 내의 파일

 

5) mount 해제

# umount /nfs_share

 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Hostname 변경  (0) 2021.09.06
[Linux] ssh-keygen  (0) 2021.09.06
[Linux] 네트워크 설정  (0) 2021.08.24
[Linux] FTP  (0) 2021.08.24
[Linux] SELinux  (0) 2021.08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