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[Linux] FTP

twoDeveloper 2021. 8. 24. 18:11

■ FTP 란?

·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 파일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

· TCP 기반 통신을 통해 이기종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

· 대용량 파일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지만 암호화하여 전송하지 않음 ( 보안상의 이유로 권장 x )

· 암호화 통신을 하는 FTP 서비스로는 vsftp 서비스가 존재

· 20 / 21 Port 존재

20번 포트
( Data Port)
· 액티브 모드 ( Active Mode) : 20번 Port를 사용 / Server -> Client로 연결 시도 ( 방화벽 문제 )
· 패시브 모드 ( Passive Mode) : 1024번 Port를 사용 / Client -> Server로 연결 시도
· 양방향 통신 / 전이중 방식 ( Full Duplex )
21번 포트
(Control Port)
· 상대방의 연결일 기다리거나 연결을 시도, 다른 장치와 연결을 맺고 해당 명령어를 전달
· FTP가 사용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
· 단방향 통신 / 반이중 방식 ( Half Duplex )

 

■ FTP 구축

□ Server

1) vsftpd 설치

# yum -y install vsftpd

# cd /var/ftp

 

2) vsftpd 서비스 실행

# systemctl restart vsftpd

# systemctl enable vsftpd  => 재부팅 시에도 서비스가 켜져 있도록 설정

 

3) vsftpd 방화벽 설정
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ftp

# firewall-cmd --reload  => 방화벽 설정 후 반드시 reload 해야 값이 적용

 

4) FTP 설정 파일

# vim /etc/vsftpd/vsftpd.conf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9 번째 줄 주석 제거
anon_upload_enable=YES

33 번째 줄 주석 제거
anon_mkdir_write_enable=YE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# systemctl restart vsftpd

 

5) 퍼미션 설정

· 소유자 / 소유자 그룹을 ftp로 변경

# chown ftp.ftp /var/ftp/pub

 

□ Client

 

1) FTP 설치

# yum -y install ftp

 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NFS  (0) 2021.08.25
[Linux] 네트워크 설정  (0) 2021.08.24
[Linux] SELinux  (0) 2021.08.24
[Linux] DNS Server 구축  (0) 2021.08.23
[Linux] DNS Server  (0) 2021.08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