· DNS1 : Primary (주 서버)
· DNS2 : Second (보조 서버)
■ DNS Server 구축 (Cash 전용)
· 자기 자신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
· 질의 / 응답 해주는 역할
· IP를 알아오면 Cash 값으로 저장
■ DNS Primary Server 구축
1) Service 설치 진행
# yum -y install bind bind-chroot
2) /etc/named.conf 설정
(1) 접속허용 IP 127.0.0.1 -> any
(2) IPv6 사용하지 않음, 따라서 none 대입
(3) allow-query 값을 any
3) named.conf 설정 후 재시작 (필수)
# systemctl restart named
4) 방화벽 설정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dns
# firewall-cmd --reload " 방화벽 설정 후 재시작
5) nslookup으로 확인
# nslookup
> server [시스템 서버 IP]
> [도메인 이름]
■ example.com 도메인 제작
1) Web Service 설치 (apache)
# yum -y install httpd
2) Web Service 실행 / 상태 확인
# systemctl start httpd
# systemctl status httpd
3) http 포트 방화벽 열기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80/tcp
# firewall-cmd --reload
4) /etc/named.conf 설정
· 마지막줄에 삽입
zone 'example.com" IN {
type master;
file "example.com.db"; <- 세부 설정 파일
allow-update { none; };
};
5) 오타 체크
# named-checkconf
6) /var/named 디렉토리에서 진행
# cp named.localhost example.com.db
7) example.com.db 파일 편집
$TTL 3H
@ SOA @ root. (
0 ; serial
1D ; refresh
1H ; retry
1W ; expire
3H ) ; minimum
IN NS @
IN A 192.168.56.55
www IN CNAME web.example.com.
web 1 IN A 192.168.56.55
2 IN A 192.168.56.101
8) 오타 체크
# named-checkzone example.com example.com.db
9) 권한 설정
· Permission 문제 때문에 named에 접근하지 못함, 따라서 권한 설정
# chmod -R 754 /var/named
■ DNS Second Server 구축
1) 현재 시스템에 DNS를 설정
# vim /etc/resolve.conf
nameserver [DNS 주서버 IP]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FTP (0) | 2021.08.24 |
---|---|
[Linux] SELinux (0) | 2021.08.24 |
[Linux] DNS Server (0) | 2021.08.23 |
[Linux] 작업 스케줄링 (0) | 2021.08.17 |
[Linux] 사용자 관리 (0) | 2021.08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