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DNS (Domain Name System) 란?
·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Host와 통신하려면 각 Host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함
· IP 주소는 약 43억 개에 가까운 경우의 수를 가짐
· 각 Host의 IP 주소를 기억하기는 매우 어려움
· 따라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
■ 호스트 / 도메인
· 호스트 이름 : Network 상의 컴퓨터 각각의 이름
· 도메인 이름 : Network 범위를 지정하는 이름 ('구역' 같은 느낌)
ex)
· www -> 호스트 이름
· example.com -> 도메인 이름
□ FQDN (Full Qulified Domain Name)
· 호스트 + 도메인 이름을 모두 표기한 풀주소 이름 / 전체 도메인 이름
☞ url : 특정사이트 위치까지 가는 전체 경로
■ DNS Server
· DNS Name을 IP주소로 변경
■ Hosts
· IP 주소 대신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 IP 주소와 이름을 연결해 놓은 파일
· 경로 : /etc/hosts
· IP가 우선시 됨
ex) IP => example1, DNS => www.exampe2.com 이면 인터넷 창에 www.example2.com 을 검색하면 example1이 접속됨
■ Domain을 알아내는 방법
· Hosts -> DNS Cash -> (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) DNS Server -> root DNS Server -> com 최상위 Domain Server -> example.com Domain Server에서 IP를 알려줌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ELinux (0) | 2021.08.24 |
---|---|
[Linux] DNS Server 구축 (0) | 2021.08.23 |
[Linux] 작업 스케줄링 (0) | 2021.08.17 |
[Linux] 사용자 관리 (0) | 2021.08.15 |
[Linux] touch, mv, cp, rm 명령어 (0) | 2021.08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