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Public Subnet
· 네트워크 트래픽이 Gateway로 Routing 되는 Subnet
·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스턴스 Public Subnet 생성
1) VPC 생성
- 이름 : test-vpc
- IPv4 CIDR 블록 : 10.0.0.0/16 으로 설정
2) Public 서브넷 생성
- VPC ID : 생성한 VPC (test-vpc) 선택
- IPv4 CIDR 블록 : 10.0.0.0/24
3) 생성한 서브넷에서 (test-sub) "퍼블릭 IPv4 주소 자동 할당"
- 생성한 test-sub 선택
- "작업"에서 "자동 할당 IP 설정 수정" 클릭
- "퍼블릭 IPv4 주소 자동 할당 활성화" 선택 후 저장
- test-sub의 퍼블릭 IPv4 주소 할당에서 "아니오" 가 "예"로 변경됨
4)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(Internet Gateway)
5)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한 VPC와 연결
- 인터넷 게이트웨이에서 "작업" 클릭
- "VPC 연결" 클릭
- 생성한 test-vpc 선택 후 인터넷 게이트웨이 연결
- 상태가 Detached -> Attached로 바뀜
6) 라우팅 테이블 생성
- 이름 : test-rt
- VPC : 기존 생성한 test-vpc 선택
7) 생성한 라우팅 테이블 편집
- 생성한 "라우팅 테이블 ID"를 클릭
- 라우팅에서 "라우팅 편집" 클릭
- "라우팅 추가" 클릭 후 대상은 "0.0.0.0/0" 모든 대상으로 선택
- Gateway 대상은 기존 생성한 "인터넷 게이트웨이" 선택
- 라우팅 생성 완료 후 상태
8) '서브넷 연결'
- '서브넷 연결 편집' 클릭
- '연결 저장' 클릭
9 ) 인스턴스 생성
- 인스턴스 생정 과정에서 생성한 VPC 설정 부분만 확인 후 생성
- 네트워크 : 생성한 "test-vpc" 선택
- "검토 및 시작"
10) ssh 접속
$ ssh -i ~/.ssh/"key.pem" ec2-user@[Public IPv4 주소]
- ~/.ssh 에 key.pem 존재
- 인스턴스에서 할당 받은 IPv4 주소 입력 후 접속
- ping 8.8.8.8로 인터넷과 연결 확인
'Clou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AWS VPC : NAT 구성 (구축 3) (0) | 2021.09.01 |
---|---|
[AWS] AWS VPC : Private Subnet (구축 2) (0) | 2021.09.01 |
[AWS] AWS VPC (0) | 2021.09.01 |
[AWS] S3 (Simple Storage Services) (0) | 2021.09.01 |
[AWS] Linux 인스턴스 접속 (0) | 2021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