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3계층에서 하는 일!
① 3계층(Network Layer)의 기능
· 다른 네트워크 대역,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
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
· LAN과 LAN 사이의 연결을 해주는 역할
· 3계층 대표적 장비 '라우터(Router)'
★라우터(Router) :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 간 통신을 하기 위한 장비★
② 3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
· WAN(Wide Area Network) 이란?
1) 여러개의 LAN이 모서 이루는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
2) 지역 / 국가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
3) 두 개 이상의 LAN 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3계층 대표 장비인 라우터(Router)가 필요
3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| |
IPv4 주소 |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에 할당된 IP 주소 |
서브넷 마스크 | 할당된 IP 주소에 대하여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 |
기본 게이트웨이 | 외부와 통신하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|
※ IP 주소만 있다고 해서 멀리 있는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없다.
③ 3계층 프로토콜
· ARP(Address Resoultion Protocol) 란?
· IP 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알아옴
· IPv4(IP Version 4) 란?
·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
·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이란?
1) 서로가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
2)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 기록된 주요 프로토콜
3)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를 전송받는 데 주로 사용
4)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이며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작업을 수행
■ 일반적인 IP 주소
① Classful IP 주소
★ A 클래스는 주로 큰 구역에 사용 ★
★ E 클래스는 실험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IP ★
· Classful IP 주소는 사용할 범위가 정해져 있고 자신의 Routing 동작 중에 Subnet Mask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· Classful Mask를 배정해서 낭비가 심함
② Classfulless IP 주소
· Classfulless IP 주소는 Routing 동작 중 특정 Subnet Mask를 포함하는 Routing Protocol 이며 낭비되지 않도록 아껴씀
※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
1) Classful 한 Network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
2) 어디까지가 Network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Host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지 지정
3) 32bit -> 4byte
4) 255.255.255.192 -> 11111111.11111111.11111111.11000000
★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, 1과 1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.★
따라서, IP 주소는 서브넷 마스크랑 같이 사용됨
ex)
192.168.100.68 / 255.255.255.192 와 같이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쓰면?
A. 192.168.100.0 과 같이 C Class에 해당하는 Network를 192.168.100.0, 192.168.100.64, 192.168.100.128, 192.168.100.192와 같이 4개의 작은 Network 대역으로 나눈 것이고 해당 IP주소는 2번째 Network에 해당
■ 사설IP / 공인IP
· 공인IP 1개당 2^32개의 사설IP 할당
1) 사설IP : 같은 Network 대역에서 사용되는 IP 주소
2) 공인IP : Internet 세상, Internet 통신망이랑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
· 내 PC에서 100의 주소로 보내면, 외부로 나갈 때 사설IP 에서 공인IP 로 바껴서 나감
· 만약, 어느 사이트의 만화를 보고 싶어서 사이트에서 요청을 하면 공유기가 요청한 IP를 찾아서 정보를 보내줌
· 실제 Internet 상에서는 공인IP 로만 통신, 외부 Network 대역에서는 사설IP 대역이 보이지 않음
★외부에서 볼 때 개인의 IP는 알 수 없음★
★외부에서 예를 들어 강의실을 볼 때 컴퓨터 30대가 1대로 보임★
※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· 네트워크 주소를 사설IP 에서 공인IP 로 바꿔주는 역할
· 크게 보면, 특정IP 를 특정IP 로 변환해주는 역할
· 만약, 나간적이 없는 패킷이 들어올 경우? (NAT Table에 기록이 없음)
1) 내부 컴퓨터에 전달되지 않음
2) 정보를 공유기가 가지고 있음
3) 일반적으로 Sever IP 는 사설IP 를 사용하지 않음 -> 주로 공인IP 를 사용
4) 공유기상에 포트포워딩을 하면 외부 사설IP 에서 IP주소를 입력해도 확인 가능
※ 내부적인 일은 공유기가 처리해줌
※ 특수한 IP 주소
※ 공유기 구조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OSI 2계층 (0) | 2021.03.22 |
---|